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스타일/🍯일상 꿀팁

MBTI 성격 유형 검사 결과 확인하기. 내 MBTI 성격은 무엇일까?

by 레첼이 2023. 1. 22.
300x250
반응형

2-3년 전부터 엄청나게 인기를 얻고 있는 MBTI, 여러분들도 본인의 MBTI 알고 계신 가요? 나의 성격, 성향을 간단하게 알파벳 4글자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MBTI는 심리학자 칼 융의 유형론을 토대로 만들어진 성격 유형 검사입니다. MBTI가 정확하게 어떤 건지, 개발 스토리, 구성 그리고 유형별 특징까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제 MBTI는 ESFJ로 사교적인 외교관입니다!

 

 

MBTI란?

Myers-Briggs Type Indicator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로 자기보고서 문항을 통해 각자가 선호하는 경향을 찾고, 선호 경향들이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심리 검사입니다. MBTI는 스위스 심리학자인 카를 융 (Carl Jung)의 ‘Psychological Types’의 책을 읽고 인사이트를 얻은 두 명의 미국인인 캐서린 쿡 브릭스 (Katharine Cook Briggs)와 그녀의 딸인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 (Isabel Briggs Myers)로부터 개발되었습니다. MBTI의 첫 번째 테스트는 1962년 미국에서 출판되었고,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C 버클리), 오번 대학교 (Auburn University), 플로리다 대학교 (University of Florida) 교수들로부터 추가적인 지원을 받으며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1980년도 MBTI 개발자 중 한명인 마이어스가 사망한 이후, 메리 맥카울리 (Mary McCaulley)는 MBTI의 매뉴얼을 추가 작업하며 두 번째 버전이 1985년도에 출판되었고, 지금도 사용하고 있는 세 번째 판이 1998년도에 출판되었습니다. MBTI를 통해 본인의 성격이 내향성 또는 외향성, 감각 또는 직관, 사고적 또는 감각적, 판단적 또는 지각적과 같은 범주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MBTI 구성


MBTI는 4가지로 구성되어있으며, 서로 반대되는 성향을 나타냅니다. MBTI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은 평소 사용하는 단어와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MBTI 전용 단어로 뜻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MBTI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먼저 잘 아는 것이 내 MBTI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첫 번째 분류는 에너지의 방향입니다. E와 I로 구분되며, EExtrovert로 외향 (단체, 개방)을 뜻하며, 반대인 IIntrovert로 내향 (개인, 내면)을 뜻합니다. 그다음으로는 인식 형태를 나타내는 N과 S가 있습니다. Intuition을 뜻하는 N은 직관 (미래, 가능성, 신속)을 나타내며, SSense로 감각 (현실, 경험, 정확)을 나타냅니다. N과 S는 정보 수집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의사결정을 내릴 때 판단하는 분류로는 T와 F가 있습니다. Thinking에 T는 사고 (원칙, 논리) Feeling에 F는 감정 (관계, 협조)로 나눠집니다.

마지막으로 어떠한 일이 있을 때 대처하는 방식으로 분류되는 J와 P가 있습니다. JJudging으로 판단 (계획, 목적성)을 나타내며 PPerceiving으로 인식 (자율, 융통성)을 나타냅니다.

테스트를 통해서 본인의 성격과 성향을 가장 잘 나타내는 알파벳 4개의 조합으로 MBTI가 결정됩니다.

 

각 MBTI  유형과 특징


MBTI 성격유형검사의 결과는 총 16가지로 조합되며, 분석가형외교관형, 관리자형과 탐험가형으로 나눠집니다.
우리나라 성격 유형검사 결과로는 1위가 INFP이며, 한국과 세계 평균 순위와 큰 차이가 없이 대부분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분석가형]


가장 먼저 설명해 드릴 분석가형의 MBTI는 직관(N)과 사고(T)가 유난히 강한 성향을 보이는 유형입니다. 따라서, 본인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INTJ (전략가), INTP (논리술사), ENTJ (통솔자), ENTP (변론가)

 

[외교관형]


외교관형의 MBTI는 보통 이상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외교관답게 사람과의 관계를 굉장히 중요시하고, 상대방의 감정을 잘 파악하는 타입입니다.
INFJ (선의의 옹호자), INFP(열정적인 중재자), ENFJ(정의로운 사회운동가), ENFP(재기발랄한 활동가)

[관리자형]


관리자 유형은 실제 본인이 겪은 경험들과 느꼈던 감정을 중시하는 타입입니다. 대부분 예의를 중요시하고, 관습과 전통을 중요하게 생각해 급격한 변화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ISTJ(청렴결백한 논리주의자), ISFJ(용감한 수호자), ESTJ(엄격한 관리자), ESFJ(사교적인 외교관)


[탐험가형]


탐험가형들은 인식(P)과 감각(S)이 많이 발달한 유형입니다. 개방적이고 본인만의 스타일이 뚜렷하여 감각적인 성향을 나타냅니다. 자기 경험을 바탕으로 실행하는 경험주의자입니다.
ISTP(만능 재주꾼), ISFP(호기심 많은 예술가), ESTP(모험을 즐기는 사업가). ESFP(자유로운 영혼의 연예인)

세상 모든 사람의 성격과 성향을 알파벳 4개로 나누기에는 불가능하겠지만, 간단히 이런 유형별로 나눠 특징을 알아볼 수 있는 재밌는 테스트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